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한인 10명 중 한 명 빈곤

아시안 모범생 고정관념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 같은 편견을 깰 조사 결과가 제시됐다.     27일 퓨리서치센터는 아시안 빈곤 관련 영상·리포트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전체 아시안(2300만명)의 10%(230만명)가량이 연방빈곤선(FPL) 밑이라는 응답을 보였다.   한인도 10%로 평균치와 동률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버마계(19%) ▶몽족(17%) ▶몽골계(16%) ▶중국계·베트남계(11%) ▶일본계(8%) 등을 기록했으며 한인은 말레이시아계와 동일하다.   25세 이상의 학사소지 성인 기준으로 빈곤하다고 응답한 아시안은 30%로, 비아시안 학사학위 소지자중 빈곤을 호소한 응답자가 14%에 불과한 것과 대비해 높다.   빈곤한 아시안의 60%는 미국 출생이 아닌 이민자였으며, 이들중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는 응답자는 44%다. FPL 이상 소득 아시안의 61%는 영어에 유창했다.   지역별로는 뉴욕·LA·샌프란시스코 등 주요 3개 대도시에 50만명이 넘는 FPL 이하 소득 아시안이 거주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빈곤 아시안의 대다수는 아시안이 밀집된 지역에 거주중이다. 특히 가주 프레즈노에서는 거주 아시안의 19%가 빈곤에 처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시안 빈곤율은 10개 대도시에 집중됐는데, 특히 뉴욕과 뉴저지의 경우 26만 4000명이 빈곤을 호소해 가장 많았다.     전체 아시안 중에서는 79%가 지난 1년간 ▶저축(57%) ▶청구서 지불(42%) ▶푸드뱅크에 도움을 요청해야 할 정도의 가난(38%)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   저축의 경우 FPL 이상 소득 아시안 중에서도 40%가 하지 못했다.   FPL 이하 소득 아시안중 47%는 아메리칸 드림에 회의적이었으며, FPL 이상 소득 아시안중 46%는 달성중이라고 답했다.   FPL 이하 소득 아시안이 주택을 갖게 될 가능성은 40%로, FPL 이상 소득 아시안(71%)보다 훨씬 낮았다.   연구진은 “미국 내 아시안은 타인종 대비 교육·재정적인 성공을 거둔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 자세히 보면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며 이 같은 발표를 내놓은 이유를 밝혔다.   이번 발표는 ▶지난해 2월까지 실시했던 아시안 14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2022년 센서스-미네소타대학 데이터 ▶2022년 7월~지난해 1월 아시안 7006명(6개 언어)을 대상으로 한 조사중 FPL 이하 소득 아시안 561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 2022년 FPL 기준이다. 강민혜 기자 [email protected]한인 빈곤 아시안 빈곤율 빈곤 아시안 비아시안 학사학위

2024-03-27

미국 내 아시안 10% 빈곤

아시안 모범생 고정관념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 같은 편견을 깰 조사 결과가 제시됐다.     27일 퓨리서치센터는 아시안 빈곤 관련 영상·리포트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전체 아시안(2300만명)의 10%(230만명)가량이 연방빈곤선(FPL) 밑이라는 응답을 보였다.   한인도 10%로 평균치와 동률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버마계(19%) ▶몽족(17%) ▶몽골계(16%) ▶중국계·베트남계(11%) ▶일본계(8%) 등을 기록했으며 한인은 말레이시아계와 동일하다.   25세 이상의 학사소지 성인 기준으로 빈곤하다고 응답한 아시안은 30%로, 비아시안 학사학위 소지자중 빈곤을 호소한 응답자가 14%에 불과한 것과 대비해 높다.   빈곤한 아시안의 60%는 미국 출생이 아닌 이민자였으며, 이들중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는 응답자는 44%다. FPL 이상 소득 아시안의 61%는 영어에 유창했다.   지역별로는 뉴욕·LA·샌프란시스코 등 주요 3개 대도시에 50만명이 넘는 FPL 이하 소득 아시안이 거주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빈곤 아시안의 대다수는 아시안이 밀집된 지역에 거주중이다.   아시안 빈곤율은 10개 대도시에 집중됐는데, 특히 뉴욕과 뉴저지의 경우 26만 4000명이 빈곤을 호소해 가장 많았다.     뉴욕주에선 버팔로(18%)의 아시안 빈곤율이 가장 높았다.   전체 아시안 중에서는 79%가 지난 1년간 ▶저축(57%) ▶청구서 지불(42%) ▶푸드뱅크에 도움을 요청해야 할 정도의 가난(38%)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   저축의 경우 FPL 이상 소득 아시안 중에서도 40%가 하지 못했다.   FPL 이하 소득 아시안중 47%는 아메리칸 드림에 회의적이었으며, FPL 이상 소득 아시안중 46%는 달성중이라고 답했다.   FPL 이하 소득 아시안이 주택을 갖게 될 가능성은 40%로, FPL 이상 소득 아시안(71%)보다 훨씬 낮았다.   연구진은 “미국 내 아시안은 타인종 대비 교육·재정적인 성공을 거둔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 자세히 보면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며 이 같은 발표를 내놓은 이유를 밝혔다.   이번 발표는 ▶지난해 2월까지 실시했던 아시안 144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2022년 센서스-미네소타대학 데이터 ▶2022년 7월~지난해 1월 아시안 7006명(6개 언어)을 대상으로 한 조사중 FPL 이하 소득 아시안 561명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다. 2022년 FPL 기준이다. 강민혜 기자미국 아시안 아시안 빈곤율 빈곤 아시안 비아시안 학사학위

2024-03-27

아시안 뉴요커 빈곤율, 백인의 두 배

아시안 뉴요커 중 빈곤을 겪는 이들의 비율이 백인 빈곤율의 두 배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팬데믹 이후 뉴욕시 경제가 회복되는 과정에서, 아시안 등 유색인종 다수가 종사하는 산업의 일자리는 고르게 회복되지 못한 탓으로 풀이된다.   21일 컬럼비아대와 지역 비영리단체 로빈후드 연구 그룹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뉴욕시에 거주하는 아시안 그룹 중 24%가 빈곤 상태를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백인 빈곤율(13%)의 두 배에 가까운 수준이다. 아시안 빈곤율은 히스패닉(26%)보다는 낮은 수준이긴 했지만, 흑인 뉴요커 빈곤율(23%)보다는 소폭 더 높았다. 아시안 뉴요커 빈곤율은 뉴요커들의 평균 빈곤율(23%, 약 150만명)보다도 높았다.   전문가들은 팬데믹 이후 노동시장 회복세가 인종그룹별로 격차를 보이면서 빈곤율도 차이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뉴욕시는 지난해 10월 팬데믹으로 사라졌던 일자리가 모두 회복됐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대부분은 재택 건강관리와 같은 저임금 산업 위주로 일자리가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시안 근로자들이 상당수 종사하고 있는 소매산업은 뉴욕시 산업 중에서도 일자리가 가장 많이 사라진 산업이다. 이에 따라 아시안 빈곤율이 백인 그룹에 비해 높은 편이란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뉴욕시 어린이들의 빈곤율도 높아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뉴욕시에 거주하는 어린이 4명 중 1명(25%)이 빈곤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 어린이 빈곤율은 2015년 이후 가장 높았다.     팬데믹 시기에 확대 지원됐던 ‘차일드 택스 크레딧’(CTC·부양자녀 세액공제)을 통해 많은 어린이가 빈곤을 벗어났는데, 확대 지급이 종료되면서 빈곤 상태에 빠진 어린이들이 많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2021년의 경우 CTC 확대 영향으로 뉴욕시의 아동 빈곤율이 30% 줄어든 바 있다.   아울러 보고서는 CTC와 비슷한 혜택의 뉴욕주정부 베니핏을 영구적으로 확대할 것을 권고했다. 로빈후드는 “자녀당 연간 최대 330달러 수준인 엠파이어스테이트 차일드 택스 크레딧을 최대 1000달러까지 확대하고, 소득 기준도 조정해야 한다”며 “이 경우 최대 7만6000명의 아동이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빈곤율 아시안 아시안 빈곤율 백인 빈곤율 아시안 뉴요커

2024-02-21

미국 아동 빈곤율, 1년간 두 배 이상 수준으로 높아져

지난 1년간 정부 지원금을 고려해 계산한 미국인들의 빈곤율이 급등했고, 특히 아동 빈곤율이 두 배 이상 수준으로 높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연방정부의 코로나19 팬데믹 관련 지원이 일제히 종료된 결과로 풀이된다.     12일 센서스국에 따르면, 정부 지원금을 반영한 '보충적 빈곤측정'(SPM) 빈곤율은 지난해 12.4%를 기록, 직전해(7.8%)보다 4.6%포인트 상승했다. SPM 빈곤율은 팬데믹동안 2년 연속 하락했으나, 각종 지원금이 종료되면서 반등했다. SPM 빈곤율은 차일드택스크레딧(CTC·부양자녀세액공제)·근로소득세액공제(EITC)·푸드스탬프(SNAP) 등을 모두 포함해 계산한 결과다. 저소득층에겐 정부지원금 영향이 큰 만큼, 전문가들은 SPM 빈곤율이 더 유용하다고 보고 있다. 소득만 갖고 계산한 공식 빈곤율은 지난해 11.5%로, 직전해(11.6%)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특히 18세 미만 아동 빈곤율은 12.4%로, 1년 전(5.2%)에 비해 2배가 넘는 수준으로 높아졌다. 여성이 가장인 가구 빈곤율은 22.6%로, 직전해(11.7%) 대비 10.9%포인트나 급등했다. 아시안 빈곤율은 9.5%에서 11.6%로 높아졌다. 재커리 파롤린 컬럼비아대 빈곤 및 사회정책센터 선임연구원은 "부양자녀 세액공제가 종료되면서 아동 빈곤율이 급등했다"고 설명했다.   무보험자 비율은 2021년 8.3%에서 2022년 7.9%로 하락했다. 작년까지는 메디케이드 수혜 자격 박탈을 금지하는 조치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다만 올해부터 각 주에서 메디케이드 자격을 재점검, 많은 이들이 자격을 상실하고 있기 때문에 무보험자 비율은 다시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미국인들의 중간 가계소득은 2021년 7만6330달러에서 2022년 7만4580달러로 2.3% 감소했다. 미국 가구의 실질 중위소득은 지난 2019년에 7만8250달러로 정점을 찍은 뒤 3년 연속 하락했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중간소득도 지난 1년간 2.2% 줄었다. 다만 아시안 중간소득은 10만8700달러로, 타인종보다 압도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백인 중간소득은 8만1060달러였으며, 히스패닉(6만2800달러), 흑인(5만2860달러) 순이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미국 빈곤율 아동 빈곤율 아시안 빈곤율 공식 빈곤율

2023-09-12

작년 중산층 소득 아시안 최다…10만8700불…백인은 8만불선

미국인 가정의 중간 소득이 1년 만에 감소했다.     연방 센서스국이 12일 발표한 ‘2022년 소득 및 빈곤율 통계’에 따르면 미국인의 실제 중위 가구 소득은 2021년 7만6330달러에서 2022년 7만4580달러로 2.3% 감소했다. 반면 같은 기간 인플레이션은 7.8% 상승한 것으로 파악돼 미국인들의 살림이 팍팍해졌음을 알렸다.   인종별 소득 수준에서는 아시안 소득이 가장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아시안 실제 중위 가구 소득은 10만8700달러로, 백인의 8만1060달러보다 무려 2만7640달러나 많이 벌었다. 백인의 경우 전년 대비 3.6% 줄었다. 그 뒤로 히스패닉 6만2800달러, 흑인은 5만2860달러로 나타났다.   통계를 보면 같은 기간 풀타임 노동자 수는 전년 대비 3.4%, 전체 노동자 수는 1.7% 증가했지만, 파트타임 노동자를 포함한 개인 중위 소득은 2021년에 비해 2.2%나 줄었다. 이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연방 및 주 정부들이 제공하던 근로소득세 공제나 자녀 및 부양가족 세금 환불 등 각종 세금감면 혜택이 종료됐기 때문으로 조사됐다.   특히 2020년과 2021년에 주 및 연방 정부가 납세자에게 일회성으로 ‘코로나 지원금’을 지급한 것도 소득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각종 지원 프로그램 종료로 소득이 감소하면서 빈곤자 수는 증가했다. 소득만 기준으로 삼은 공식 빈곤율의 경우 지난해 11.5%로, 전년도(11.6%)와 비슷했지만, 정부 지원금과 소비자물가지수를 반영해 계산한 ‘보조 측정 빈곤율(SMP)’은 2021년의 7.8%에서 2022년 12.4%로 4.6%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18세 미만 아동의 SMP 빈곤율은 12.4%로, 1년 전의 5.2%에 비해 2배 이상 뛰었다. 여성이 가장인 가구 빈곤율도 22.6%로, 전년도(11.7%) 대비 2배 가까이 올랐다. 아시안 빈곤율도 9.5%에서 11.6%로 높아졌다.     무보험자 비율은 2021년 8.3%에서 2022년 7.9%로 하락했다. 이 역시 지난해까지 메디캘 수혜 자격을 완화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올해 3월부터 가입 자격 기준을 다시 강화하면서 무보험자 비율은 다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장연화 기자 [email protected]중산층 아시안 아시안 소득 아시안 빈곤율 근로소득세 공제

2023-09-12

전국 빈곤율, 팬데믹 기간 오히려 하락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면서 오히려 전국 빈곤율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에 중·저소득층 타격이 클 것을 우려한 연방정부가 각종 지원금을 제공하면서 오히려 빈곤 수준을 면한 이들이 많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7일 센서스국 발표에 따르면, 2019~2021년 전국 평균 빈곤율은 11.2%로, 10년 전이었던 2009~2011년(14.8%)에 비해 3.6%포인트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당초 센서스국 등 전문가들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0년간 이어진 경기확장세가 막바지로 접어들면서 빈곤율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소비가 급감하는 등 경제타격이 커진 것도 높은 빈곤율이 예상된 배경이었다. 하지만 연방정부가 코로나19 긴급재난지원금, 실업수당 등 각종 지원금을 추가로 제공하면서 빈곤 상태에 빠져있던 이들이 오히려 벗어난 경우가 많았다는 설명이다.     전국 평균 빈곤율은 팬데믹이 발생하기 전이었던 2015~2017년(12.8%), 2017~2019년(11.5%) 평균 빈곤율과 비교해도 계속해서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었다.     센서스국은 “팬데믹이 시작되자마자 경제 타격이 영향을 미칠 것을 우려했지만, 연방정부의 지원금이 적기에 제공된 덕에 빈곤율이 떨어진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뉴욕 일원 빈곤율도 전국 경향을 따라 하락세를 보였다. 2019~2021년 뉴욕주 평균 빈곤율은 12.3%로, 2009~2011년 평균 빈곤율(15.9%)보다 3.6%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뉴저지주 평균 빈곤율 역시 10.6%에서 7.3%로 하락했다.     아시안 빈곤율도 하락했다. 2021년 뉴욕 일원 아시안 빈곤율(10.9%)은 5년 전 13.5% 대비 떨어졌다. 퀸즈 아시안 빈곤율은 같은 기간 17.4%에서 12.7%로 크게 낮아졌다.     2021년 현재 전국에서 빈곤 수준에 있는 거주자 비중이 가장 높은 주는 미시시피주로, 18.1%를 기록했다. 이외에 루이지애나주(17.3%), 뉴멕시코주(16.7%) 등의 빈곤율이 높았다. 전국에서 빈곤율이 가장 낮은 주는 뉴햄프셔주로 5.6%였다. 유타(7.5%), 매사추세츠주(7.9%) 등의 빈곤율도 한자릿수를 기록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빈곤율 전국 전국 빈곤율 아시안 빈곤율 평균 빈곤율

2023-02-08

뉴욕시 ‘아시안 Z세대’ 실업률 가장 높다

뉴욕시에서 팬데믹 이후 ‘아시안 Z세대’의 직장 안정성이 크게 위협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팬데믹 전과 비교했을 때 흔히 ‘Z세대’로 일컬어지는 아시안 16~24세 중 일자리가 없는 이들의 비율이 크게 오르면서 흑인·히스패닉보다 높은 실업률을 기록했다.   15일 톰 디나폴리 뉴욕주 감사원장이 발표한 ‘뉴욕시의 고르지 못한 회복’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뉴욕시 아시안 Z세대(16~24세) 실업률은 23.3%로, 2019년 아시안 Z세대 실업률(10.9%)에 비해 2배 이상 수준으로 높아졌다. 특히 올해 아시안 Z세대 실업률은 흑인(20.4%), 히스패닉(18.5%), 백인(16.2%)보다 높았다. 2019년엔 흑인 Z세대 실업률이 15.5%로 가장 높았고, 아시안과 히스패닉 실업률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이제는 젊은 아시안 실업률이 월등히 높아진 셈이다. 타인종 그룹에선 2020~2021년 실업률이 올랐다가 올해는 회복세를 보였던 반면, 아시안 실업률은 해가 갈수록 더 높아지는 모습이었다.   Z세대 뉴요커 실업률이 타주보다 높은 가운데, 젊은 아시안들은 아직도 팬데믹 타격에서 못 벗어났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뉴욕시 Z세대 평균 실업률은 17.9%로, 뉴욕주(9.3%)와 전국 평균(8.3%)에 비해 월등히 높다.   아울러 뉴욕시의 Z세대 실업률이 높은 이유로는 젊은 층이 상당수 종사하는 산업의 회복 속도가 더디다는 점이 꼽혔다. 레저 및 접객산업(18%), 소매산업(18%) 등은 16~24세 근로자 비율이 20%에 가까울 정도로 높다.     이처럼 뉴욕시 젊은층의 일자리는 타격이 컸던 가운데, 뉴욕 일원의 빈곤 수준은 과거보다는 나아진 것으로 파악됐다.     센서스국이 공개한 2017~2021 아메리칸커뮤니티서베이(ACS) 5년 추정치 통계에 따르면, 뉴욕-뉴왁-저지시티 지역 빈곤율은 12.3%로 2016년(14.2%) 대비 하락했다. 아시안 빈곤율(10.9%)도 5년 전 13.5% 대비 하락했다. 한인밀집지역인 퀸즈 아시안 빈곤율은 같은 기간 17.4%에서 12.7%로 크게 낮아졌다. 팬데믹에 연방정부 등에서 각종 지원금이 제공되면서 빈곤 수준은 면한 이들이 많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아시안 실업률 아시안 실업률 뉴욕시 아시안 아시안 빈곤율

2022-12-15

뉴욕주민 14%가 빈곤상태

뉴욕주민의 14%가 빈곤 상태에 처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뉴욕주 빈곤율은 8년 연속 전국 평균을 넘어서고 있다.     8일 톰 디나폴리 뉴욕주 감사원장이 발표한 ‘뉴욕주 빈곤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뉴욕주민 약 270만명(13.9%)이 빈곤한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 평균 빈곤율(12.8%)보다 높은 수준으로, 뉴욕주는 2014년 이후 8년 연속 전국 평균 빈곤율을 넘어서고 있다.   뉴욕주 내에서도 뉴욕시·시라큐스·버펄로·로체스터·용커스 등 대도시 빈곤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 가운데, 뉴욕시에서는 브롱스(24.4%)와 브루클린(17.8%), 맨해튼(16.3%) 순으로 빈곤가구 비율이 높았다. 퀸즈의 경우 10.3%로 다른 보로에 비해선 빈곤율이 낮은 편이었다. 뉴욕주에서 빈곤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나소카운티로 5.7%에 불과했으며, 서폭카운티 역시 빈곤율이 6.1%로 낮았다.     역시 노인과 여성, 유색인종 커뮤니티가 취약한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주의 노인 빈곤율은 지난 2010년 10.9%에서 2021년 12.2%로 높아졌다. 모든 연령대 그룹 중 65세 이상의 노인 빈곤율만 지난 10년간 유일하게 높아졌다. 여성이 가장인 가구 빈곤율은 22.9%로, 평균 가구 빈곤율(10.1%)에 비해 높았다.     백인 빈곤율은 10.0%에 불과했으나 흑인(20.3%), 히스패닉(20.9%), 하와이원주민 및 태평양 섬 주민(25.6%) 등 유색인종 커뮤니티 빈곤율은 대부분 20%를 넘어섰다. 다만 아시안 빈곤율은 14.7%로 유색인종 중 가장 낮았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뉴욕주민 빈곤상태 뉴욕주 빈곤율 노인 빈곤율 아시안 빈곤율

2022-12-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